그린란드에 대한 간단한 사실들:
- 인구: 약 56,000명.
- 수도: 누크.
- 공용어: 그린란드어(칼랄리수트), 덴마크어.
- 통화: 덴마크 크로네(DKK).
- 정부: 덴마크 왕국 내의 자치령으로, 국내 업무에서 제한적 자치권을 가짐.
- 지리: 북대서양에 위치한 그린란드는 세계에서 가장 큰 섬으로, 210만 제곱킬로미터가 넘는 면적을 차지함.
사실 1: 그린란드는 세계에서 가장 큰 섬이며, 대부분이 빙하로 덮여 있다
그린란드는 면적 기준으로 세계에서 가장 큰 섬으로, 약 2,166,086제곱킬로미터(836,330제곱마일)에 달한다. 그린란드의 대부분은 그린란드 빙상으로 덮여 있으며, 이는 남극 다음으로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빙상이다. 빙상은 그린란드 표면적의 약 80%를 덮고 있으며 엄청난 양의 얼음을 포함하고 있어 전 지구적 해수면 상승에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빙하와 얼음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그린란드에는 얼음이 없는 해안 지역들이 있어 툰드라 식생과 북극곰, 북극여우 같은 야생동물을 포함한 다양한 생태계를 지원한다.

사실 2: 세계 최북단 수도가 그린란드에 있다
세계 최북단 수도는 누크이다. 그린란드의 수도인 누크는 섬의 남서쪽 해안에 위치하며, 대략 북위 64°10’에 있다. 상대적으로 북쪽에 위치함에도 불구하고, 누크는 해안 위치와 인근 래브라도 해류의 영향으로 그린란드의 다른 지역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온화한 기후를 경험한다. 누크는 그린란드의 정치, 문화, 경제의 중심지 역할을 하며, 최근 추정으로는 18,000명이 넘는 인구를 가지고 있다.
사실 3: 그린란드에 가는 것은 쉽지 않다
그린란드의 외진 위치와 제한된 교통 수단으로 인해 그린란드에 가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그린란드의 주요 국제공항은 섬의 서쪽에 위치한 캉에를루수아크 공항(SFJ)이다. 캉에를루수아크 공항에서 여행자들은 일반적으로 300킬로미터 이상 떨어진 수도 누크에 도달하기 위해 국내선 항공편을 이용해야 한다. 공항과 누크 사이의 거리로 인해 짧은 국내 항공편이나 육로와 해로를 통한 긴 여행이 필요하며, 이는 더 접근하기 쉬운 목적지들에 비해 그린란드 여행을 더 복잡하게 만든다.
참고: 섬에서 렌터카를 계획하고 있다면, 그린란드 국제운전면허증이 필요한지 여기서 확인하세요. 하지만 그린란드에는 도시 간 도로가 없다는 점을 유의하세요.

사실 4: 세계에서 가장 큰 국립공원이 그린란드에 있다
그것은 동북 그린란드 국립공원(칼랄리트 누나니 누나 에키시시마티타크)이라고 불린다. 약 972,000제곱킬로미터(375,000제곱마일)의 면적을 차지하는 이 광대한 보호구역은 그린란드 북동부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이 공원은 빙하, 피오르드, 빙모, 그리고 북극곰, 사향소, 북극여우 같은 야생동물을 포함한 놀라운 북극 풍경을 특징으로 한다. 그 거대한 크기와 원시 야생 상태는 북극 생태계 연구에 관심 있는 자연 애호가들과 연구자들에게 안식처가 되고 있다.
사실 5: 썰매개는 여전히 그린란드에서 중요한 교통수단이다
썰매개는 특히 현대적인 교통 인프라가 제한된 외딴 지역과 접근하기 어려운 지역에서 그린란드의 중요하고 의미 있는 교통수단으로 남아있다. 특히 북부와 동부 지역의 많은 그린란드 공동체에서 썰매개는 일상생활에 필수적이며, 특히 눈과 얼음이 지형을 덮는 겨울철에 북극 풍경을 가로질러 사냥, 낚시, 여행을 위한 필수적인 교통수단을 제공한다. 스노모빌과 헬리콥터 같은 다른 교통 수단이 이용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썰매개는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계속하고 있다.

사실 6: 그린란드는 덴마크의 자치령이다
그린란드는 덴마크 왕국 내의 자치령이다. 그린란드가 상당한 정도의 자치권을 누리고 있지만, 덴마크는 여전히 외교와 국방 같은 정치의 특정 측면에 대한 통제권을 유지하고 있다.
많은 식민 권력들과 마찬가지로, 덴마크는 강제 재정착, 문화 동화 노력, 부적절한 의료 및 교육 서비스를 포함하여 원주민 인구에게 악영향을 미치는 정책들을 시행했다. 이러한 정책들은 이누이트 인구에게 파괴적인 결과를 가져왔고 심각한 사회적, 문화적 격변을 초래했다. 많은 이누이트 여성들은 여성들의 동의 없이 나선형 피임구를 삽입한 덴마크 의사들의 신체 개입으로 인해 아이를 가질 수 없었다. 이는 여성들이 건강 문제를 겪기 시작하고 검사에서 나선형 피임구가 발견되면서 밝혀졌다.
사실 7: 바이킹 유적이 그린란드에 보존되어 있다
가장 잘 알려진 고고학적 유적지 중 하나는 그린란드 남부에 위치한 노르드족 정착지인 발시이다. 발시에는 중세 시대 그린란드의 노르드족 점령 시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교회, 농장, 주거지를 포함한 여러 건물의 유적이 포함되어 있다.
그린란드 전역에 흩어져 있는 다른 유적들과 함께 이러한 유적들은 대략 10세기에서 15세기 사이에 이 지역에 노르드족 정착민들이 있었다는 것을 증명한다. 이들은 북대서양 지역에서의 초기 유럽인 탐험과 식민화 노력의 귀중한 증거를 제공한다.

사실 8: 이 나라의 이름은 과거의 홍보 전략이었다
“그린란드”라는 이름은 일부 역사학자들에 의해 10세기에 그린란드 정착의 공로를 인정받은 노르드족 탐험가 에릭 적발왕의 홍보 전술이었다고 여겨진다. 역사적 기록에 따르면, 에릭 적발왕은 정착민들을 험준하고 얼음이 많은 지형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노력으로 이 섬을 “그린란드”라고 명명했으며, 이 이름은 더 살기 좋은 환경을 시사했다. 이 마케팅 전략은 섬의 주로 얼음이 많은 풍경에도 불구하고 비옥한 땅과 풍부한 자원의 약속으로 노르드족 정착민들을 유혹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사실 9: 그린란드에는 나무가 매우 적다
그린란드는 북극 기후와 광대한 얼음으로 덮인 풍경으로 특징지어지며, 이는 나무의 성장을 제한한다. 결과적으로 그린란드에는 나무가 매우 적으며, 특히 기후가 더 혹독하고 지형이 빙모와 툰드라로 지배되는 중부와 북부 지역에서 그렇다. 상대적으로 기후가 온화한 그린란드 남부에서는 주로 왜소한 버드나무와 자작나무로 이루어진 산재한 나무 군락이 보호된 계곡과 피오르드를 따라 발견될 수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그린란드의 수목 피복은 세계의 다른 지역들에 비해 희박하며, 이는 북극의 도전적인 환경 조건을 반영한다.

사실 10: 그린란드에서는 물고기를 잡기 쉬우며 국가 요리의 주요 재료이다
주변 북극 해역은 대구, 넙치, 북극 송어, 연어 같은 다양한 어종과 새우, 게 같은 갑각류를 포함한 해양 생물이 풍부하다.
낚시는 오랫동안 원주민 이누이트 인구의 전통적인 생활 방식이었으며, 섬 전역의 공동체에 생계와 생활 수단을 제공해왔다. 오늘날 상업적 어업은 그린란드의 핵심 산업으로 남아있으며, 물고기는 국내 소비와 국제 시장 모두를 위해 수출되고 있다.
요리 측면에서, 물고기는 전통적인 그린란드 요리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며, 이는 종종 삶거나 훈제한 생선 같은 간단한 조리법과 해조류, 베리, 허브 같은 지역 재료를 포함하는 더 정교한 요리법을 특징으로 한다.

Published April 28, 2024 • 10m to read